Euclidean Algorithm

개요

두 양의 정수, 혹은 두 다항식의 최대공약수를 구하는 방법으로, 한국의 수학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하지만 여타 다른 교육과정 외 내용들이 그렇듯이 알아놓으면 몇몇 문제를 푸는데 굉장히 유용하다. 호제법(互除法)이라는 말은 서로(互) 나누기(除)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이 알고리즘유클리드의 원론에 적혀 있는 내용으로, 인류 최초의 알고리즘이라 한다. 알고리즘의 골자는 다음과 같다. >두 양의 정수 에 대하여 라 하면, 최대공약수최대공약수와 같다. 즉, .

증명

라 하자. 그럼 적당한 서로소정수 에 대해 가 성립한다. 이를 에 대입하면, 이고, 이다. 여기서 의 공약수임을 알 수 있다. 만약 가 서로소이면 증명이 끝난다. 이라고 하면, 적당한 서로소인 정수 에 대해 이 성립한다. 한편, 이다. 즉, 이다. 그런데 는 서로소이므로, 이다. 이는 곧 가 서로소임을 의미한다.

활용

알고리즘이라는 이름에 걸맞게, 위 성질을 한 번만 사용해서는 제대로된 활용이 힘들다. 보통은 나머지가 0이 될 때까지 연속해서 사용한다. 이를 간단한 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최대공약수

개요에도 쓰여있듯이, 이 알고리즘은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구할 때 쓸 수 있다. 한 예로 12345와 1234의 최대공약수를 구하고 싶다 하자. 위 알고리즘에 두 수를 대입하면,


곧 두 수의 최대공약수는 1임을 알 수 있다.

연분수

어떤 분수를 연분수 형태로 나타낼 때에도 이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를 연분수 형태로 바꾼다 하자. 분자, 분모에 대해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여기서 몫만 따오면, 이다.

다항식에서의 호제법

개요에도 써있지만, 두 정수뿐만 아니라 두 다항식최대공약수를 구할 때에도 쓰일 수 있다. 기본적인 틀은 동일하며, 단지 정수가 다항식으로 바뀐것 뿐.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두 다항식 에 관하여, 이라 하면, 이 성립한다.

증명 방법 역시 정수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예시

의 최대공약수를 구해보자. 그럼,
따라서, 이 처음 두 다항식의 최대공약수가 된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