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문서: 제3편 1930~40년대 줄기찬 항일 ===제 1장 관립에서 공립 전환=== ====제 1절 광주학생만세운동 이후 교내 움직임==== ====제 2절 더욱 강화된 일본화 교육==== =====정진일지의 강요===== =====병영훈련강화===== ====제 3절 중일전쟁과 전주북중==== ====제 4절 이철승 동문의 항일저항==== ===제 2장 격랑 속 학창생활=== ====제 1절 19회 전주고보 마지막 입학생==== ====제 2절 전주고보에서... |
편집 요약 없음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학생동태 감시 내용===== | =====학생동태 감시 내용===== | ||
====제 3절 전고생들의 묵음시위==== | ====제 3절 전고생들의 묵음시위==== | ||
동맹휴학, 교장 축출 등 개교 이래 그치지 않고 이어진 일제에 대한 항거는 | 동맹휴학, 교장 축출, 수학여행 보고회 파문 등 개교 이래 그치지 않고 이어진 전고인들의 일제에 대한 항거는 1940년대에 들어 무언(無言)의 묵음(默音) 집단시위 형태로 표출됐다. 묵음 시위는 22회 동문들이 입학하던 1940년부터 시작됐다. 행렬이나 대열의 뒤에서부터 ‘음…’ 하는 소리로 집단 시위를 하는 것이다. 주번교사가 “누구냐? 누구냐?”고 다그치면 ‘음…’ 소리는 사라지지만 교사가 눈을 돌리면 여기저기서 또 묵음이 나오는 등 신경질적이고 게릴라적인 시위방식으로 교사들 골머리를 앓게했다. <br> | ||
당시 5학년 유승렬(柳承㤠) 동문은 남들이 다 조용한 데도 혼자서 ‘음…’하다가 그만 들통이 나서 교무실에 불려가서 혼쭐 나기도 했다. 평소 운동장 조회 때 일본인 교사가 지휘대 단상에 올라 한국인에 대하여 귀에 거슬리는 말이나 얕잡아 헐뜯는 훈화를 하거나 행렬 중 비슷한 일이 있을 때면 누가 시킨 것도 아니지만 “음…음…” 하며 입을 다물고 여기저기서 콧속으로 소리를 내는 항변의 시간을 가졌다.<br> | |||
일본인 선생들은 아무리 단속하려고 해도 아예 허사였다. 왜냐면 “음…음…”하는 소리는 입을 열지 않아도 가능하였고, 따라서 학생들은 입을 다물고 그 소리를 내기 때문에 주동자를 색출해내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교사들이 소리를 듣고 소리 나는 쪽으로 향하면 그쪽에서는 소리가 멎고, 다른 쪽에서 또 소리가 들려오고 또다시 소리 나는 쪽으로 쫓아가면 또 다른 방향에서 소리가 나는 등 숨바꼭질이 되풀이됐다.그 당시 이 “음…음…” 소리는 전주북중에 다니는 학생이면 누구나 다 잘 아는 신호였다. 즉 인기 없고 존경할 가치가 없는 일본인 교사에 대한 일종의 레지스탕스요, 혈기왕성한 학생들의 욕구 불만의 표시였다<br> | |||
====제 4절 유청동문의 증언, 전고와 항일정신==== | ====제 4절 유청동문의 증언, 전고와 항일정신==== | ||
====제 5절 전주고 교지 회지 발간==== | ====제 5절 전주고 교지 회지 발간==== | ||
일제 강점기 시절에도 전주고보의 교지가 발간됐다. 일본어로만 제작된 이 교지 제호는 <회지>(會誌)며 발행소는 ‘전주공립고등보통학교 교우회(校友會)’로 되어 있다. ‘교우회’는 요즘의 ‘학생회’와 같다.현재 확보돼 있는 <회지>는 제 6호, 제 7호, 제 10호 단 3권 뿐으로 언제 창간호가 발간됐으며, 언제까지 발간됐는지 확실히 알 수가 없다. <br> | |||
제 10호에 개교 20주년(1939년) 기념 특집을 다룬 점으로 볼 때 도중에 발간 중단이 없었다 치면 1930년에 창간호가 발간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회지>는 국판 크기로 제 6호는 174페이지, 제 7호는 182페이지, 제 10호는 200페이지로 제작됐다.<회 | |||
지>의 인쇄는 국내가 아닌 일본 후꾸오카(福岡)시의 인쇄소에서 했으며, 지질(紙質)이나 인쇄상태가 비교적 양호해 80년이 지난 현재도 알아보기에 전혀 불편이 없을 정도이다. <br> | |||
개교 20주년을 맞아 특집으로 제작된 제10호 <회지>를 기준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첫 장에 일본 제국주의 상징인 교내 ‘봉안전’20)(奉安殿)을 비롯해 교사(校舍)와 개교 20주년을 맞아 낙성된 강당 전경 모습이 실려있고, 일본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내용의 새 교가(校歌)와 전·현 학교장 사진, 전체 교직원과 강당 조회 사진이 소개돼 있다. <br> | |||
그리고 개교 20주년을 맞아 개최한 기념전람회의 각 부문별 사진 및 학교생활인 미화작업, 등교 모습, 운동장 조회, 분열, 전교 운동회 사진 등이 실려 있다. 이밖에 벌채와 모내기 벼 수확 등 근로작업에 동원된 학생들 모습 등이 16페이지 분량의 흑백 사진 화보로 실려 있다. 본문 내용으로는 조선 총독의 ‘근화’(謹話)에 이어 당시 학교장인 모리(森廣美) 교장의 개교 20주년 기념사와 교사 및 졸업 동문들의 회고 글 등이 실려 있다. <br> | |||
개교 20주년 기념 특집답게 <회지> 제10호는 개교 이후 학교 연혁과 약사(略史) 등이 기록돼 있고, 당시까지 재직했던 교직원들의 직위 및 재직기간, 학교를 떠난 뒤 발령 받은 학교 등 개인 신상이 상세히 소개됐다. 또한 개교 20주년 당시 근무하고 있던 교직원 신상도 기록돼 있고, 특히 당시의 학교 교세(校勢)를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br> | |||
아울러 개교 20주년을 맞아 1940년 10월25일 강당 낙성식과 겸해 열린 기념식 관련 내용을 많은 부분을 할애해 실었다. 식전(式典) 개요부터 학교장 식사, 전북도지사 축사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축전을 보내온 인사들 명단도 게재했다. | |||
이어 개교 20주년을 맞아 시행한 각종 기념사업 내용과 교내에서 진행한 기념 전람회의 분야별 세부내용을 상세하게 소개했다. 기념 전람회에서는 전주고 재학생을 비롯 도내 및 전국 다른 학교 학생들이 출품한 각종 작품도 함께 전시됐다. 작품은 서예·수채화등 도서(圖書) 수공(手工) 작품을 비롯, 이과(理科) 제작품등 여러 분야에서 갈고 닦은 솜씨를 겨뤄 분야별로 심사를 거쳐 우수 작품에 대한 시상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쟁관련 포스터, 전사자 유물 등도 전시하고있어 순수 전람회라고 할 수는 없다. 이밖에 <회지>에서는 1년 동안의 각종 학교 행사 및 소식 뿐만 아니라 개교 당시부터 20년 동안의 학 | |||
교일지도 실었다. 또한 교지에서는 빠질 수 없는 학생들의 산문과 시, 단가(短歌)등 문예작품도 실었으나 이중 상당수는 역시 일제를 찬양하는 내용이다. <br> | |||
각 특별활동부의 활동내용도 빼놓지 않았다. 특히 육상경기부·야구·축구·농구부등 체육부의 경우는 1년동안 출전했던 각종대회 성적을 자세하게 소개했다. 아울러 교우회(=학생회)의 한해 예산을 세입·세출 항목별로 공개했으며 끝 부분엔 당시까지 졸업생 전체 명단 및 주소를 실었다. 개교 20주년을 맞아 낙성된 강당은 180평 규모로 실내조회 등 각종 행사 때 이용되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건립된 학교 건물 중 아직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물로 현재도 학생들의 유도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br> | |||
=====1939년 당시 교세===== | =====1939년 당시 교세===== | ||
=====학교일지 20년사===== | =====학교일지 20년사===== | ||
===제 6장 강점기 말 교사,교정과 학생의 모습=== | ===제 6장 강점기 말 교사,교정과 학생의 모습=== | ||
[[File:스크린샷 2024-08-16 085835.png|400px]]{{틀-}} | |||
전고가 관립 전주고보로 설립 개교한 상황은 이미 기술했거니와 당시의 행정구역으로 전주군 이동면(全州郡 伊東面)인 현 위치에 교사(校舍)를 신축, 가(假) 교사에서 이전했던 당시에는 시멘트 합벽으로 된 목조 2층 건물 1동으로 1층에 교장실 교무실 등이 있었고 2층엔 교실 5개가 있는 지금의 전고의 위용에 비할 바가 못 되는 초라한 모습이었다.<br> | |||
====제 1절 학교시설==== | ====제 1절 학교시설==== | ||
====제 2절 자긍심 대단했던 전주고생==== | ====제 2절 자긍심 대단했던 전주고생==== | ||
당시 전주고생들이 교복에 구두를 갖춰 신고 교문을 나서면 타교생이나 시민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전주시 남자 중학교는 전주고 외에 전주농업교(全州農業校)와 신흥학교 그리고 중일전쟁 이후 개교한 본 전주사범학교가 있었지만 신흥학교가 일제에 의해 강제폐교22) 되었기에 몇 안 되는 전주시내 소수의 중학교 학생들이 기념행사 등에서 대열을 지어 시내를 | |||
행진할 때는 전주시민들의 박수가 쏟아졌다. 개중에서도 명문 전주고 학생들은 어깨를 펴고 으스댔다. <br> | |||
도내 각지는 물론 충남 등지에서 모여든 많은 입학 지원자 중에서 소수만이 선발되어 입학했기에 북중 뱃지를 붙인 학생은 잘해야 한 면(面)에 한 두 명도 되지 않았다. 사실상 전고를 졸업해도 대부분 학생들은 취직을 해야 했고 상급대학에 진학하는 수라야 한 학년에 10명 정도였다. 하지만 북중학교를 졸업하면 그 당시 한국사람으로서는 쌀 속의 뉘처럼 희 | |||
소한 대학생이 될 수 있다는 장차 희망이 있었기에 북중생은 긍지가 하늘을 찌르고 젊은이 특유의 허세까지 곁들여 자연히 어깨에 힘이 들어가기 일쑤였다. 두꺼운 백선(白線) 하나에 높을 ‘高’(고) 모표가 덩실한 교모(校帽)에다 상의 깃에 학년을 표시한 양복을 입고 나서면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었다고 동문들은 술회한다.<br> | |||
이와 같은 자랑의 바탕은 역시 민족정신, 민족전고 자부심에서 비롯했다. 무언중에 일제에 항상 항거하는 반일정신과 때로는 선배 동문 다수가 일경에 체포되고 영어의 몸이 되는 곤욕을 치렀으며 5년의 학교 생활 동안 같은 횟수 동문 거의 반수가 사상불온이니 폭행이니 하는 죄 아닌 죄로 퇴학을 당하거나 자퇴를 강요당해 잡초처럼 교문을 쫓겨나는 것을 직접 곁에서 지켜본 전고생들의 가슴속에는 민족 정기와 함께 항일 저항정신이 들끓고 있었던 것이다.이로 인해 전주는 물론 전국적으로 ‘전주고보는 일제에 항거하여 맹휴를 자주 하는 학교’란 인식이 퍼져 있었다.<br> | |||
====1940년대 초 북중생의 학창생활==== | ====1940년대 초 북중생의 학창생활==== | ||
이 절에서는 임실군 교육장을 역임한 한송수 동문(23회)이 일제 강점기 말을 회고하면서 당시 북중(=5 | |||
년제 전주북공립중학교) 학생들의 교내생활을 소상히 기록해 동창회로 보내준 글을 원문 그대로 옮긴다. | |||
“{{인용문|1941년 전국에서 모인 많은 우수한 지원자중에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영광의 합격자 명단을 우천체조장 벽에서 보았을 때의 기쁨은 무어라 표현할 수 없었다. 합격자는 3개반으로 편성되었다. 당시 학기는 1년을 3학기로 하고 학년초는 4월초순에 시작하였다. 1학기의 학업 성적에 따라 우수반을 뽑았기 때문에 그 대열에 들기 위해 학업에 정진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2학년 때부터는 우수반 제도가 교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하여 폐지되었다.그 당시 국방색의 교복을 입고 ‘데바리’ 모자를 쓴 우리 전주북중 학생들은 ‘지성일관 정진역행(至誠一貫 精進力行)’의 교훈 아래 열심히 학업에 정진하던중 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군사훈련과 근로작업에 시간을 빼앗겨 4학년 때는 거의 수업이 없을 정도인 전형적인 일제 식민치하의 군국주의 교육이었다. 전쟁중이라 사열을 받기 위한 군사훈련에는 노일전쟁 당시 사용했던 9·9식, 3·8식 소총과 기관총을 가지고 모의 공포탄을 쏘아 실전을 방불케 했다. | |||
2차 세계대전에서 일제의 패망이 가까워옴에도 불구하고 전주시내의 중등학교들은 남중학교에 집합하여 사열을 받고 수류탄 던지기, 포복, 총검술 등 전쟁에 필요한 군사력을 습득하기 위한 국방경기(國防競技)대회에 참여해야만 했다. 그리고 전북도내의 중등학교를 남군(전주북중, 전주남중, 전주사범, 전주농업, 전주공업)과 북군(군산중, 군산상업, 이리농림, 이리공업)으로 나누어 총을 메고 야간행군한 다음날 아침 삼례들판에서 양군의 전투 대결훈련이 실시되었다. 치고 밀리는 그 당시 훈련상황은 실전을 방불케 하였다. | |||
[[File:스크린샷 2024-08-13 131715.png|400px]]{{틀:-}} | |||
이 모든 군사훈련이 끝나면 허기와 피로에 지쳐 심신의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였다. 게다가 일본은 ‘근로 보국대(勤勞 報國 | |||
隊)’라는 것을 결성, 학생들의 노동력을 전쟁에 이용했다. 덕진 야산 솔밭을 개간해 고구마 밭 일구기, 군산 불이(不二)학교에서 숙 | |||
박하면서 비행장 공습에 대비한 비행기 방공호 파기(이 당시 취침전 친구들과 조선말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중대장실로 끌려가 몽 | |||
둥이질을 당하고 정학처분 당한 암울한 기억이 안스러움으로 남아있다.), 모교의 뒷산을 허물어 기숙사를 지을 부지 조성 등 | |||
은 좋은 예들이다}} | |||
[[File:스크린샷 2024-08-13 131917.png|400px]]{{틀:-}} | |||
===제 7장 광복이전의 교사들=== | ===제 7장 광복이전의 교사들=== | ||
====제 1절 한국인교사==== | ====제 1절 한국인교사==== |
2024년 8월 16일 (금) 09:05 판
제3편 1930~40년대 줄기찬 항일
제 1장 관립에서 공립 전환
제 1절 광주학생만세운동 이후 교내 움직임
제 2절 더욱 강화된 일본화 교육
정진일지의 강요
병영훈련강화
제 3절 중일전쟁과 전주북중
제 4절 이철승 동문의 항일저항
제 2장 격랑 속 학창생활
제 1절 19회 전주고보 마지막 입학생
제 2절 전주고보에서 북중으로 교명 바뀌어
제3절 노다 교사와 스트라이크
제 3장 수학여행 보고회 파문
제 1절 일제의 기만성 폭로
제 2절 사태수습과 야마시다 교사
제 4장 학도동원령, 근로보국, 군사훈련
제 1절일제강점 말기 시대 상황과 태평양전쟁
제 2절 3차 교육령 개정과 학도 동원령
학업 중단하고 강제 노력 동원
제 5장 일제 말기 반전 항일운동
제 1절 더욱 삼엄해진 학생 사찰
제 2절 연행, 구속, 투옥, 사제들의 고난
구속 교사, 학생들에 대한 관제 판결내용
노환 교사 투옥 이유
학생동태 감시 내용
제 3절 전고생들의 묵음시위
동맹휴학, 교장 축출, 수학여행 보고회 파문 등 개교 이래 그치지 않고 이어진 전고인들의 일제에 대한 항거는 1940년대에 들어 무언(無言)의 묵음(默音) 집단시위 형태로 표출됐다. 묵음 시위는 22회 동문들이 입학하던 1940년부터 시작됐다. 행렬이나 대열의 뒤에서부터 ‘음…’ 하는 소리로 집단 시위를 하는 것이다. 주번교사가 “누구냐? 누구냐?”고 다그치면 ‘음…’ 소리는 사라지지만 교사가 눈을 돌리면 여기저기서 또 묵음이 나오는 등 신경질적이고 게릴라적인 시위방식으로 교사들 골머리를 앓게했다.
당시 5학년 유승렬(柳承㤠) 동문은 남들이 다 조용한 데도 혼자서 ‘음…’하다가 그만 들통이 나서 교무실에 불려가서 혼쭐 나기도 했다. 평소 운동장 조회 때 일본인 교사가 지휘대 단상에 올라 한국인에 대하여 귀에 거슬리는 말이나 얕잡아 헐뜯는 훈화를 하거나 행렬 중 비슷한 일이 있을 때면 누가 시킨 것도 아니지만 “음…음…” 하며 입을 다물고 여기저기서 콧속으로 소리를 내는 항변의 시간을 가졌다.
일본인 선생들은 아무리 단속하려고 해도 아예 허사였다. 왜냐면 “음…음…”하는 소리는 입을 열지 않아도 가능하였고, 따라서 학생들은 입을 다물고 그 소리를 내기 때문에 주동자를 색출해내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교사들이 소리를 듣고 소리 나는 쪽으로 향하면 그쪽에서는 소리가 멎고, 다른 쪽에서 또 소리가 들려오고 또다시 소리 나는 쪽으로 쫓아가면 또 다른 방향에서 소리가 나는 등 숨바꼭질이 되풀이됐다.그 당시 이 “음…음…” 소리는 전주북중에 다니는 학생이면 누구나 다 잘 아는 신호였다. 즉 인기 없고 존경할 가치가 없는 일본인 교사에 대한 일종의 레지스탕스요, 혈기왕성한 학생들의 욕구 불만의 표시였다
제 4절 유청동문의 증언, 전고와 항일정신
제 5절 전주고 교지 회지 발간
일제 강점기 시절에도 전주고보의 교지가 발간됐다. 일본어로만 제작된 이 교지 제호는 <회지>(會誌)며 발행소는 ‘전주공립고등보통학교 교우회(校友會)’로 되어 있다. ‘교우회’는 요즘의 ‘학생회’와 같다.현재 확보돼 있는 <회지>는 제 6호, 제 7호, 제 10호 단 3권 뿐으로 언제 창간호가 발간됐으며, 언제까지 발간됐는지 확실히 알 수가 없다.
제 10호에 개교 20주년(1939년) 기념 특집을 다룬 점으로 볼 때 도중에 발간 중단이 없었다 치면 1930년에 창간호가 발간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회지>는 국판 크기로 제 6호는 174페이지, 제 7호는 182페이지, 제 10호는 200페이지로 제작됐다.<회
지>의 인쇄는 국내가 아닌 일본 후꾸오카(福岡)시의 인쇄소에서 했으며, 지질(紙質)이나 인쇄상태가 비교적 양호해 80년이 지난 현재도 알아보기에 전혀 불편이 없을 정도이다.
개교 20주년을 맞아 특집으로 제작된 제10호 <회지>를 기준으로 내용을 살펴보면 첫 장에 일본 제국주의 상징인 교내 ‘봉안전’20)(奉安殿)을 비롯해 교사(校舍)와 개교 20주년을 맞아 낙성된 강당 전경 모습이 실려있고, 일본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내용의 새 교가(校歌)와 전·현 학교장 사진, 전체 교직원과 강당 조회 사진이 소개돼 있다.
그리고 개교 20주년을 맞아 개최한 기념전람회의 각 부문별 사진 및 학교생활인 미화작업, 등교 모습, 운동장 조회, 분열, 전교 운동회 사진 등이 실려 있다. 이밖에 벌채와 모내기 벼 수확 등 근로작업에 동원된 학생들 모습 등이 16페이지 분량의 흑백 사진 화보로 실려 있다. 본문 내용으로는 조선 총독의 ‘근화’(謹話)에 이어 당시 학교장인 모리(森廣美) 교장의 개교 20주년 기념사와 교사 및 졸업 동문들의 회고 글 등이 실려 있다.
개교 20주년 기념 특집답게 <회지> 제10호는 개교 이후 학교 연혁과 약사(略史) 등이 기록돼 있고, 당시까지 재직했던 교직원들의 직위 및 재직기간, 학교를 떠난 뒤 발령 받은 학교 등 개인 신상이 상세히 소개됐다. 또한 개교 20주년 당시 근무하고 있던 교직원 신상도 기록돼 있고, 특히 당시의 학교 교세(校勢)를 상세히 소개하고 있다.
아울러 개교 20주년을 맞아 1940년 10월25일 강당 낙성식과 겸해 열린 기념식 관련 내용을 많은 부분을 할애해 실었다. 식전(式典) 개요부터 학교장 식사, 전북도지사 축사를 비롯해 전국 각지에서 축전을 보내온 인사들 명단도 게재했다.
이어 개교 20주년을 맞아 시행한 각종 기념사업 내용과 교내에서 진행한 기념 전람회의 분야별 세부내용을 상세하게 소개했다. 기념 전람회에서는 전주고 재학생을 비롯 도내 및 전국 다른 학교 학생들이 출품한 각종 작품도 함께 전시됐다. 작품은 서예·수채화등 도서(圖書) 수공(手工) 작품을 비롯, 이과(理科) 제작품등 여러 분야에서 갈고 닦은 솜씨를 겨뤄 분야별로 심사를 거쳐 우수 작품에 대한 시상을 하기도 했다. 그러나 전쟁관련 포스터, 전사자 유물 등도 전시하고있어 순수 전람회라고 할 수는 없다. 이밖에 <회지>에서는 1년 동안의 각종 학교 행사 및 소식 뿐만 아니라 개교 당시부터 20년 동안의 학
교일지도 실었다. 또한 교지에서는 빠질 수 없는 학생들의 산문과 시, 단가(短歌)등 문예작품도 실었으나 이중 상당수는 역시 일제를 찬양하는 내용이다.
각 특별활동부의 활동내용도 빼놓지 않았다. 특히 육상경기부·야구·축구·농구부등 체육부의 경우는 1년동안 출전했던 각종대회 성적을 자세하게 소개했다. 아울러 교우회(=학생회)의 한해 예산을 세입·세출 항목별로 공개했으며 끝 부분엔 당시까지 졸업생 전체 명단 및 주소를 실었다. 개교 20주년을 맞아 낙성된 강당은 180평 규모로 실내조회 등 각종 행사 때 이용되었다. 일제 강점기 시절 건립된 학교 건물 중 아직까지 유일하게 남아 있는 건물로 현재도 학생들의 유도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1939년 당시 교세
학교일지 20년사
제 6장 강점기 말 교사,교정과 학생의 모습
틀:틀-
전고가 관립 전주고보로 설립 개교한 상황은 이미 기술했거니와 당시의 행정구역으로 전주군 이동면(全州郡 伊東面)인 현 위치에 교사(校舍)를 신축, 가(假) 교사에서 이전했던 당시에는 시멘트 합벽으로 된 목조 2층 건물 1동으로 1층에 교장실 교무실 등이 있었고 2층엔 교실 5개가 있는 지금의 전고의 위용에 비할 바가 못 되는 초라한 모습이었다.
제 1절 학교시설
제 2절 자긍심 대단했던 전주고생
당시 전주고생들이 교복에 구두를 갖춰 신고 교문을 나서면 타교생이나 시민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다. 전주시 남자 중학교는 전주고 외에 전주농업교(全州農業校)와 신흥학교 그리고 중일전쟁 이후 개교한 본 전주사범학교가 있었지만 신흥학교가 일제에 의해 강제폐교22) 되었기에 몇 안 되는 전주시내 소수의 중학교 학생들이 기념행사 등에서 대열을 지어 시내를
행진할 때는 전주시민들의 박수가 쏟아졌다. 개중에서도 명문 전주고 학생들은 어깨를 펴고 으스댔다.
도내 각지는 물론 충남 등지에서 모여든 많은 입학 지원자 중에서 소수만이 선발되어 입학했기에 북중 뱃지를 붙인 학생은 잘해야 한 면(面)에 한 두 명도 되지 않았다. 사실상 전고를 졸업해도 대부분 학생들은 취직을 해야 했고 상급대학에 진학하는 수라야 한 학년에 10명 정도였다. 하지만 북중학교를 졸업하면 그 당시 한국사람으로서는 쌀 속의 뉘처럼 희
소한 대학생이 될 수 있다는 장차 희망이 있었기에 북중생은 긍지가 하늘을 찌르고 젊은이 특유의 허세까지 곁들여 자연히 어깨에 힘이 들어가기 일쑤였다. 두꺼운 백선(白線) 하나에 높을 ‘高’(고) 모표가 덩실한 교모(校帽)에다 상의 깃에 학년을 표시한 양복을 입고 나서면 세상에 두려울 것이 없었다고 동문들은 술회한다.
이와 같은 자랑의 바탕은 역시 민족정신, 민족전고 자부심에서 비롯했다. 무언중에 일제에 항상 항거하는 반일정신과 때로는 선배 동문 다수가 일경에 체포되고 영어의 몸이 되는 곤욕을 치렀으며 5년의 학교 생활 동안 같은 횟수 동문 거의 반수가 사상불온이니 폭행이니 하는 죄 아닌 죄로 퇴학을 당하거나 자퇴를 강요당해 잡초처럼 교문을 쫓겨나는 것을 직접 곁에서 지켜본 전고생들의 가슴속에는 민족 정기와 함께 항일 저항정신이 들끓고 있었던 것이다.이로 인해 전주는 물론 전국적으로 ‘전주고보는 일제에 항거하여 맹휴를 자주 하는 학교’란 인식이 퍼져 있었다.
1940년대 초 북중생의 학창생활
이 절에서는 임실군 교육장을 역임한 한송수 동문(23회)이 일제 강점기 말을 회고하면서 당시 북중(=5 년제 전주북공립중학교) 학생들의 교내생활을 소상히 기록해 동창회로 보내준 글을 원문 그대로 옮긴다.
“
제 7장 광복이전의 교사들
제 1절 한국인교사
백용희
고(高) 교사
김성율
이진문
김용환
정학모
노환
제2절 일본인 교사
야마다 다이고로
야마시다
구와타
구와모토
우치다
제3절 한국인 고용직원
제 8장 수업 외 특별활동
미술부
육상경기부
야구부
정구부
축구부
농구부
문학 동인지 산호초
특수체육 교련과목
당시 학창생활
이 절에서는 임실군 교육장을 역임한 한송수 동문(23회)이 일제 강점기 말을 회고하면서 당시 북중(=5 년제 전주북공립중학교) 학생들의 교내생활을 소상히 기록해 동창회로 보내준 글을 원문 그대로 옮긴다.
1941년 전국에서 모인 많은 우수한 지원자중에서 어려운 관문을 통과한 영광의 합격자 명단을 우천체조장 벽에서 보았을 때의 기쁨은 무어라 표현할 수 없었다. 합격자는 3개반으로 편성되었다. 당시 학기는 1년을 3학기로 하고 학년초는 4월초순에 시작하였다. 1학기의 학업 성적에 따라 우수반을 뽑았기 때문에 그 대열에 들기 위해 학업에 정진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2학년 때부터는 우수반 제도가 교육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하여 폐지되었다.그 당시 국방색의 교복을 입고 ‘데바리’ 모자를 쓴 우리 전주북중 학생들은 ‘지성일관 정진역행(至誠一貫 精進力行)’의 교훈 아래 열심히 학업에 정진하던중 2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인해 군사훈련과 근로작업에 시간을 빼앗겨 4학년 때는 거의 수업이 없을 정도인 전형적인 일제 식민치하의 군국주의 교육이었다. 전쟁중이라 사열을 받기 위한 군사훈련에는 노일전쟁 당시 사용했던 9·9식, 3·8식 소총과 기관총을 가지고 모의 공포탄을 쏘아 실전을 방불케 했다.
2차 세계대전에서 일제의 패망이 가까워옴에도 불구하고 전주시내의 중등학교들은 남중학교에 집합하여 사열을 받고 수류탄 던지기, 포복, 총검술 등 전쟁에 필요한 군사력을 습득하기 위한 국방경기(國防競技)대회에 참여해야만 했다. 그리고 전북도내의 중등학교를 남군(전주북중, 전주남중, 전주사범, 전주농업, 전주공업)과 북군(군산중, 군산상업, 이리농림, 이리공업)으로 나누어 총을 메고 야간행군한 다음날 아침 삼례들판에서 양군의 전투 대결훈련이 실시되었다. 치고 밀리는 그 당시 훈련상황은 실전을 방불케 하였다.
이 모든 군사훈련이 끝나면 허기와 피로에 지쳐 심신의 고통은 말로 표현할 수 없을 정도였다. 게다가 일본은 ‘근로 보국대(勤勞 報國 隊)’라는 것을 결성, 학생들의 노동력을 전쟁에 이용했다. 덕진 야산 솔밭을 개간해 고구마 밭 일구기, 군산 불이(不二)학교에서 숙 박하면서 비행장 공습에 대비한 비행기 방공호 파기(이 당시 취침전 친구들과 조선말을 사용했다는 이유로 중대장실로 끌려가 몽 둥이질을 당하고 정학처분 당한 암울한 기억이 안스러움으로 남아있다.), 모교의 뒷산을 허물어 기숙사를 지을 부지 조성 등 은 좋은 예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