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공약수

Hgkim5241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8월 12일 (월) 04:24 판 (새 문서: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 또는 '''gcd''')는 두 수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양수를 말한다. 보통 정수 범위에서 정의되며, <math>\Bbb Q[x]</math>에서 정의하기도 한다. 기호로는 <math>\gcd\left(a,b\right)</math>로 표시하며, 더욱 줄이면 <math>\left(a,b\right)</math>로만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 정의 == 최대공약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 <math>\gcd\left( a , b \right) =...)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최대공약수(greatest common divisor, GCD 또는 gcd)는 두 수의 공약수 중에서 가장 큰 양수를 말한다. 보통 정수 범위에서 정의되며, 에서 정의하기도 한다. 기호로는 로 표시하며, 더욱 줄이면 로만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정의

최대공약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정의에 따라

를 만족한다.

찾는 법

예시로 두 수 12, 18의 공약수 및 최대공약수를 찾고 싶다고 하자. 간단하게, 두 수의 약수를 모두 나열한다.

12: 1, 2, 3, 4, 6, 12
18: 1, 2, 3, 6, 9, 18

여기서 위아랫줄 모두 같이 있는 숫자가 공약수가 된다. 즉, 이 경우에는 1, 2, 3, 6이 공약수가 된다. 최대공약수는, 찾은 공약수 중 가장 큰 것, 즉 이 경우에는 6이 최대공약수가 된다. 참 쉽죠?

하지만 두 수의 약수를 찾는 게 어렵다면 어떻게 될까? 2015와 246의 최대공약수를 약수를 나열하는 방법으로 찾으려면 한참이 걸릴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바로 유클리드 호제법. 놀랍게도 기원전에 발견된 인류 최초의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자세한 것은 유클리드 호제법의 활용 참조.

성질

1. 최대공약수는 유일하다

2.

3.

4.

5. 라 하면,

6. 임의의 정수 에 대하여,

7. 정수 에 대하여 를 만족하는 정수 가 존재한다. 또한 가 임의의 정수일 때 이다.

증명

2. 이므로, 두 수의 최대공약수는 1보다 크거나 같다. 즉, .

3. 는 동치이다. 그런데 또는 이므로 는 같은 약수를 갖는다. 마찬가지로, 는 같은 약수를 갖는다. 따라서, 의 공약수라는 것은 의 공약수라는 사실과 동치이다.

4. 3번으로 부터, 이다. 이므로, . 또한, 이므로, 와 0의 공약수이다. 그러므로 이다. 그런데 이므로, . 위 두 부등식으로 부터 . 다시 한번 2번으로 부터, .

5. 라 하면, 이다. 양의 정수 를 만족한다고 하자. 그러면 를 만족하는 정수 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고 의 공약수이다. 한편, 는 최대공약수이므로, . 따라서 이고 일 수밖에 없다. 이로써 보이고자 하는 바가 증명되었다.

6. 만약 의 공약수라면, 이다. 따라서 이고, 이다. 따라서 의 공약수이다. 역으로, 의 공약수라면, 이다. 따라서 이고, 이다. 즉, 의 공약수이다. 따라서 는 같은 공약수 집합을 가지므로 최대공약수도 같아야 한다.

7. 집합 ℤ, 를 생각하자. 집합 자연수의 부분집합이고 공집합이 아니므로 well-ordering 원리에 의해 가장 작은 원소가 존재한다. 이를 라 하면 적당한 정수 에 대해 이다. 여기서 가 최대공약수임을 보이면 증명이 끝난다. 이므로, 나눗셈 정리에 의하여 인 정수 가 존재한다. 그러면 이므로 이면 이고, 가 되어 가 가장 작은 원소라는 사실에 모순된다. 따라서 이고, 이다. 마찬가지로 이다. 즉, . 한편 의 공약수라면 이고,[1] 이므로 , 즉 이다. 이는 곧 가 최대공약수임을 보인다.

다항식의 최대공약수

관련 항목

각주

  1. 5번 성질 참조